
얼마간의 축적을 위한 시간이 필요할까??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m)를 검색해보니 내 (Jeongkoo Yoon) 학술논문들의 인용건수와 순위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지금까지 100건 이상 인용된 눈문을 중심으로 여기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해보았다. 같은 전문성을 지향하는 동료 학자들에게 100건 정도는 인용이 되어야 저작의 학문적 과실로서 의미가 있다는 생각에서이다. 계산해보니 사회과학인 내 영역에서 100회 이상 동료들에게 인용이 되기까지는 발표된 년도를 기준으로 최소한 10년이라는 기간이 걸렸다. 아이디어를 내서 논문을 쓰고 실제 출판을 준비하는 것까지 포함하면 100건 이상 인용되는 논문 한 편을 내는 시간은 편당 평균 15년 정도인 것같다. 내 경우는 탁월한 공동연구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단축되었지 개인이 혼자 연구를 계획해서 100건 인용되는 논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15년을 훨씬 상회할 것같다. 인문학 영역은 아마도 더 축적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내가 남들도 인정하는 전문가인지는 모르겠지만 순전히 내 기준으로만 따져보면 최소한 같은 영역에서 같은 주제로 20년은 일해야 글로벌에서도 전문가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 같다.
밀레니얼 세대가 주축이 될 초연결시대가 심화되면 전문가가 되기 위한 축적의 시간은 더 단축될까? 아니면 오히려 더 길어질까? 내 생각에는 전문가가 되기 위해 보내야 하는 축적의 시간은 그리 쉽게 단축될 것 같지 않다.
1. Commitment in exchange relations: Test of a theory of relational cohes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89-108, 1996년 발표, 787회 인용
2. Power and the emergence of commitment behavior in negotiated exchan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65-481, 1993년 발표, 432회 인용
3. Emotion and group cohesion in productive exchang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6 (3), 616-657, 2000년 발표 394회 인용
4. Network structure and emotion in exchange relatio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871-894; 1998년 발표, 324회 인용
5. A dual process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Work and occupations 29 (1), 97-124; 2002 발표, 226회 인용
6.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workplace: The case of Korean hospital employees; Human relations 52 (7), 923-945; 1999년 발표, 207회 인용
7. Social exchange and micro social order;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3 (4), 519-542; 2008년 발표; 199회 인용.
8. Social commitments in a depersonalized world; Russell Sage Foundation; 2009 발표; 141 회 인용.
9. Interpersonal attach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bgroup hypothesis revisited; Human Relations 47 (3), 329-351; 1994년 발표, 132회 인용.
10. Supervisor support in the work place: Legitimacy and positive affectivity;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0 (3), 295-316; 2000년 발표; 108회 인용
100건 이상 인용된 논문의 총 인용건수가 3천건 정도이니 30그루의 정도 크기의 과수원을 가꾸기 위해 20년이 걸린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