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2-04-23 07:59
[N.Learning] 인디언 기도
 글쓴이 : Administra…
조회 : 2,723  
인디언 기도
인디언 기도는 기도제목으로 정한 일이 성사될 때까지 기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비가 안 내려 기우제를 지낼 때도 비가 내릴 때까지 기도를 한다. 따라서 인디언 기우제는 실패하는 법이 없다.
하지만 인디언 기도가 효과적인 숨겨진 이유가 있다. 기도가 일관되게 지속되는 동안 자신의 변화가 전제되어 있다는 점이다. 자신을 먼저 변화시키고 이 변화를 통해 상대에게 영향력을 가하는 방식의 기도가 인도언 기도다. 처음부터 끝까지 자신의 행동변화가 없이 남을 위해 말로만 하는 기도와는 차원이 다르다.
톨스토이는 변화가 어려운 이유를 자신의 문제를 외재화 시켜 남들이 변화하기를 요구하기 때문이라고 규정한다. 남에게 변화하기를 요구하지만 정작 문제의 근원인 자신이 먼저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변화에 실패한다고 본다. 세상의 모든 문제는 서로 연관되어 있다. 나와 긴밀하게 관련된 사람이 문제를 가지고 있다면 그 문제에 자신도 기여했다. 상대의 변화를 요구하기전에 자신이 먼저 변화하는 모습을 행동으로 보여준 후 상대에게 변화를 요구해야 하는데 문제를 외재화 시켜 자신은 완벽한 것으로 가정하고 문제를 다 타인에게 있는 것으로 귀인시키는 과정에서 변화가 무너진다.
기도가 작동하지 않는 이유도 비슷하다. 병마로 고생하는 분들이나 재정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등 자신이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대한 기도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도는 자신이 사랑하는 누군가의 변화을 위한 것이다. 이처럼 변화를 위한 간절한 기도에서 자신이 변화하는 모습을 전제하지 않고 상대에게 변화를 요구하는 기도는 실제로 응답받을 개연성이 없다. 기도제목을 자신에게 내재화시켜 자신이 먼저 그 기도 때문에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말이 아니라 이 행동 변화를 통해 상대에게 변화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만이 기도의 응답을 들을 수 있는 사람들이다.
가끔은 연로하신 부모님이 세례를 못 받으셔서 돌아가시기 전에 하나님을 영접하기를 매일 기도하신다는 분들을 만난다. 이런 기도가 응답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 아마도 잘못은 본인에게 있을 개연성이 높다. 기독교인으로서 자신의 삶이 성숙해지고 변화하는 모습을 스스로 행동으로 증거한다면 이를 지켜보고 회심하지 않을 부모는 없다. 기독교인으로서의 기도가 자신에게 먼저 끼워지지 않고 겉돌고 있기 때문에 응답이 안 된 것이다.
누가복음에 구하다가 안되면 찾고 찾다가 안되면 두드려서라도 갈구하는 마음을 전하라는 대목이 있는데 이런 기도 행동이 작동되는 전제도 자신의 변화한 모습이다. 자신이 변화하지 않은 모습으로 아무리 구하고, 찾고, 두드리는 식의 강도를 높인다고 기도제목이 응답될리가 없다. 상대방과의 관계만 더 악화시킬 뿐이다.
가장 좋은 기도는 자신에 대해 성찰하고 이 성찰을 기반으로 먼저 자신을 안으로부터 변혁시키는 몸으로 하는 기도이다. 자신 마음 속에 대장간을 세우고 여기에서 마음을 강철 같은 근육으로 단련시키는 작업이 몸으로 하는 기도의 핵심이다.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