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스위치
마음속에는 정신모형이라는 내비게이션이 있다. 이 마음의 내비게이션은 세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고 그에 맞게 행동하도록 도와주는 지도 역할을 한다. 정신모형은 다시 지금까지 살아왔던 과거의 삶을 기반으로 현재의 삶을 설명하고 이해하게 하는 내비게이션인 정신모형 I과 미래의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이 미래의 자신을 통해 앞으로 예측되는 삶을 이해하고 설명해주는 내비게이션인 정신모형 II로 구분된다. 정신모형 I은 지금까지 세상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열심히 사는 과정에서 우리가 직접 체험하고 검증을 통해서 만들어 놓은 이론적 지도이다. 반면 정신모형 II는 아직 구현이 되지 않은 미래의 모습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정신모형으로 아직까지는 검증이 되지 않은 이론적 지도이다. 정신모형 I이 불확실성의 세계에서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은 이론이라면 정신모형 II는 자신이 미래에 리더의 삶을 살겠다고 선택했을 때 만들어지는 학습과 성장의 이론이다. 정신모형 I 속의 많은 이론들이 자신만의 방식에 따라서 주먹구구식으로 검증이 되었기 때문에 오류가 많다.
사람들은 오류투성이인 정신모형 I을 통해서 이해한 현실만이 실재한다고 믿는 반면 미래에 대한 성찰을 통해 만든 정신모형의 II의 세계는 실체가 없는 허구라고 생각한다. 반면 리더들은 정신모형 I의 세계가 허구적 세계이고 사람들은 이 허구적 세계의 감옥에 갇혀 지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들은 정신모형 II에 의해서 창출된 비전이 정신모형 I의 감옥에 갇혀있는 자신을 해방시켜줄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정신모형 II는 현재와 같이 살았던 방식을 근원적으로 벗어나서 리더의 길을 선택한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선물이다. 과거에 살았던 것보다 열심히 살겠다는 다짐만으로는 정신모형 II가 만들어 지지 않는다. 과거의 자신의 모습에 대해 코페르니쿠스적 변혁을 거친 리더로의 모습을 상상하고 이 상상한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신념적 믿음을 구축했을 때 정신모형 II는 존재를 드러낸다.
매트릭스의 영웅 네오는 빨간 약을 선택해서 허구적 매트릭스의 세계에서 벗어났지만 자신이 선택한 세계에 대한 견고한 믿음을 갖기까지 자신이 선택된 사람이라는 점에 확신을 갖지 못한다. 자신이 선택한 세상이 실재한다는 믿음을 발전시키자 자신이 선택받은 그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허구적 세계의 하수인들인 스미스와의 싸움에서도 승리한다. 정신모형 I의 세계와 정신모형 II의 세계도 비슷하다. 리더들이 정신모형 II가 지배하는 세계를 선택했다 하더라도 이 세계에 대한 믿음을 갖기 전까지는 이 세계의 눈으로 세상을 재구성해내지 못한다. 즉 정신모형 II의 세계는 이에 대한 믿음이 형성되기까지는 실재하지 않는 것이다.
진성리더의 삶은 이 정신모형 I과 정신모형 II간의 창조적 긴장관계의 산물이다. 그러나 이 둘 간의 긴장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신모형 II에 대한 믿음이 보다 단단해야한다. 흔히 정신모형 I은 지금까지의 자신만의 경험을 통해서 실제 검증된 세상에 대한 지도이고 정신모형 II는 미래의 자신에 대한 상상적 체험을 통해서 만들어진 지도이어서 이에 대한 믿음이 없다면 둘이 충돌할 경우 정신모형 I이 승리할 개연성이 높다. 마음의 작용 중 가장 중요한 작용 하나는 정신모형의 스위치를 I에서 II로 의식적으로 돌릴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하루하루를 바쁘게 살다보면 정신모형의 스위치가 II에서 I로 자연스럽게 돌아가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선데이 크리스천들은 일요일 교회에서는 정신모형 II로 스위치를 돌리지만 교회를 나오자마자 삶은 다시 정신모형 I로 돌아간다. 하나님의 세상에 대한 단단한 믿음이 없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정신모형 II에 대해 신념적 믿음을 형성했을 때 마음은 스위치를 돌리지 않아도 두 정신모형간의 긴장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정신모형 II에 대한 신념적 믿음은 마음의 근육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무엇보다도 마음의 근력을 키워줄 수 있는 마음의 담금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