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2-09-17 10:44
[N.Learning] 치곡(致曲)에 대한 해석 중용23장
 글쓴이 : Administra…
조회 : 1,892  

치곡(致曲)에 대한 해석
중용23장
영화 <<역린>으로 유명해진 중용 23장은 진성리더십에서 리더가 변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잘 설명한다.
其次(기차)는 致曲 曲能有誠(치곡 곡능유성)이니
誠則形(성즉형)하고
形則著(형즉저)하고
著則明(저즉명)하고
明則動(명즉동)하고
動則變(동즉변)하고 變則化(변즉화)니
唯天下至誠(유천하지성)이아 爲能化(위능화)니라
역린에서의 해석을 받아들여 많은 사람이 치곡(致曲) 작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만 이것은 중용을 곡해할 수 있는 한 가지 해석에 불과할 뿐이다. 작은 것에 정성을 다한다는 뜻이 있는지 모르지만 치곡이 가르치는 것은 마음이나 의식이 굴곡진 것을 펴서 다스리는 것을 의미한다. 설사 작은 일에도 정성을 다할 수 있는 힘은 본인이 하려는 것이 선하고 의롭기 때문에 생긴다.
치곡은 진성리더십에서 진정성(Authenticity)의 원래 의미다. 진정성의 정의는 True to oneself로 자신에게 이야기하는 것과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는 것이 같은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의도와 구성원의 의도가 다른 상태라면 리더는 자신의 의도가 들키지 않기 위해 연기을 통해 구부림(曲)을 숨기고 덮어야 한다. 의도자체가 선한 의도가 아닐 경우 이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 구부러짐을 펴는 것이 아니라 덮는 일에 치중해야 한다. 진성리더십에서 연기하는 리더인 유사리더가 된다.
자신에게는 자신의 탐욕을 실현시키는 것을 이야기하지만 이런 이야기를 할 경우 주변사람들이 도와주지 않을 것을 알고 다른 이야기를 할 때 곡(曲)의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자신에게 하는 이야기와 다른 사람에게 하는 이야기가 같은 이야기를 하는 의식과 마음의 상태를 만드는 것이 치곡(致曲)이다.
이런 원리에 따라 중용 23장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숨겨진 진실에 진심을 다해야 한다.
진심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된다.
정성스럽게 되면 형태가 만들어지고,
형태가 만들어지면 겉으로 드러나고,
겉으로 드러나면 명백해지고,
명백해지만 남을 감동시킨다.
남을 감동시키면 변화하게 되고,
변화하면 되어진다.
그러니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다.
아래 장표가 설명하듯이 진성리더십에서 바를 정자가 들어간 진정성은 치곡을 의미하고 마음 심자가 들어간 진정성은 치곡을 간절하게 실천해서 구성원들의 마음 속에도 뿌리를 내려 준거적 파워를 형성한 상태를 의미한다.
중용에서도 치곡을 통해 자신의 선한 의도에 마음을 쓰면 이것이 목적의 형태 Fractal로 드러나고 이 목적에 숨김의 상태가 없이 명백해지면 구성원을 감동시킨다. 구성원에게 자신의 목적에 대한 진정성을 소구받아서 구성원은 자신의 마음 속에 뿌리를 내리는 것을 허락한다. 마음 심자가 들어간 진정성의 상태에 도달한다.
목적에 대한 진정성이 소구되어 구성원의 마음 속에 뿌리를 내리면 구성원들은 자발적으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협업하고 협업은 목적에 대한 진실이 드러난 상태를 실현해 최초의 변화의 상태인 진실을 산출한다. 진실이란 약속한 선한 의도가 담긴 목적이 최초로 실현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실현된 진실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공유되고 전파되면 진실은 보편적 진리로 통용된다. 변화의 완성이다.
변화의 완성은 진실이 실현된 오얏과 복숭아 향기에 취해 많은 사람들이 과수원을 찾아오는 길을 만들어내는 단계다.
중용 23장은 진성리더십에서 설파하듯이 변화가 자신의 의도와 구성원의 의도가 같아지는 치곡 즉 바를 정자가 들어간 진정성에서 시작됨을 가르친다.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