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4-12 12:44
[N.Learning] 목적(purpose) 중심의 삶 대 목표(goal) 중심의 삶:
 글쓴이 : 윤정구
조회 : 2,509  

목적(purpose) 중심의 삶 대 목표(goal) 중심의 삶:

둘 간의 핵심적 차이는 목적의 나침반을 따라가면서 사는 내재적 삶을 삶의 중심에 두는지 짧은 시간에 최고의 효율성을 달성을 목표로 삼는 외재적 효율성을 따지는 시계를 따라가면서 사는 삶을 삶의 중심에 두는 지에 달려 있을 것이다.

나침반을 따라가며 사는 목적 중심 삶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삶의 동력을 사명과 같은 내재적 동기에서 찾고 외재적 보상을 사명을 추구한 결과로 받아들일 때 가능해진다. 시계를 따라가는 삶인 목표 중심적 삶은 삶의 동력을 돈이나 명예와 같은 외재적인 것에 두고 이 외재적인 것을 더 많이 얻는 것을 삶의 정당한 결과로 받아들인다.

성형외과 의사를 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비즈니스를 하는 이유가 외모에 자신감이 없어서 외적 활동을 꺼리는 여성들에게 자신감을 찾아 주고 따라서 이들이 프로페셔널한 삶을 되찾게 도와주기 위해서 성형외과 의사라는 일을 택했다 가정한다면 이 분은 성형외과를 하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있고 이 목적은 사명이 되어 내재적 동기를 구성한다.

하지만 똑 같은 성형외과를 하면서 다른 분은 성형외과를 해서 돈을 많이 벌어서 자신의 노후에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도 있고 또한 자신의 자식들은 좋은 집에서 좋은 차를 몰고 행복하게 살게 하기 위해서 한다면 이 사람은 성형외과를 하는 이유가 돈 때문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재적 동기로 무장한 것이다. 시계를 따라가는 삶을 선택한 것이 된다.

목적의 나침반을 따라가며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외재적인 보상은 자신의 내재적 동기를 열심히 추구한 결과일 뿐이다. 이들에게 주어지는 보상은 이들이 돈을 따라간 결과로 생긴 것이 아니라 돈이 이들을 따라 온 것이다. 이들의 목적으로 무장한 내재적 동기는 이들과 주변 환자들의 가슴을 따뜻하게 데워주고 이들에게 감동을 체험하게 한 결과이다.

시계를 따라가는 사람들은 외재적 보상이 자신의 삶의 이유이기도 하고 삶의 결과이기도 하므로 동어반복적 쳇 바퀴 도는 삶을 벗어날 수 없다. 이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만족 시키기 위해서는 둘 사이에는 비교의 기제가 작동해야 한다. 이것이 목표이다. 이들은 올해의 목표를 작년보다는 더 돈을 많이 버는 것으로, 내년에도 올해보다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으로 삼는다. 심지어 이들은 다른 동료 의사들 보다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을 목표로 설정해야 한다. 작년보다 동료보다 더 적게 버는 목표는 목표로서의 의미를 상실한다.

목표 중심의 삶이 작동이 안 될 경우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편법을 저지르는 것도 용납된다. 사명의 나침반을 따라 사는 사람들은 자신이 성형외과를 하는 이유와는 괴리가 되는 방법으로 돈을 버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지만,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유일한 존재이유인 성형외과 의사들은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존재이유이기 때문에 목표달성을 위해서 과대수술, 불법수술, 더 많은 환자에 대한 수술, 수술에 대한 리베이트도 마다할 이유가 없다.

목적의 나침반을 따라서 성형외과를 하시는 분들의 마음 속에는 끊임없는 동력원이 되어주는 발전소 하나가 건설되어 있는 셈이다. 이 발전소는 마음의 열정을 일으켜 하는 모든 일을 자발적으로 하게 만들고 매사에 환자들에게 성심성의를 다하게 한다. 이들 주위에 결과적으로 많은 환자들이 줄을 서는 이유도 이들의 목적에 대한 스토리를 환자들도 믿고 마음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계를 따라가는 사람들의 삶은 황폐함을 벗어날 길이 없다. 한 두 번이야 목표를 달성하겠지만 정상적으로는 매년 더 나은 목표를 달성할 방법도 없다. 장기적으로는 불가능한 시나리오이다. 하지만 목표 달성이 존재이유인데 이것을 달성하지도 못하는 사람이라는 자괴감은 이들의 발목을 잡는다. 또한 이들은 목표달성을 위해 동료와 끊임없이 경쟁해야 한다.

돈을 삶의 삶의 존재이유로 삼고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을 삶의 결과로 설정한 삶은 헛바퀴도는 삶을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돈 많이 버는 것을 삶의 목적으로 삼는 사람들이나 회사가 돈을 벌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한다. 회사에서도 목적관리 (management by purpose)가 전제되지 않고 시계를 따라가는 삶인 MBO (management by objective)만을 추구하는 회사가 장기적으로는 구성원들을 쇄진시켜가며 서서히 무너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