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폭풍을 잠재울 수 있었을까?
운전대를 되찾자!
갈릴리 호수에 폭풍이 몰아쳤다. 평상시에는 평온한 호수이지만 바람이 거세면 파도가 넘실대는 무서운 바다로 변한다.
갈릴리 호수의 둘레는 장장 63km다. 호수 이편에서 저편으로 이동할 때는 뱃길은 최적의 지름길이다. 걸어서 이동하려면 먼 거리이기에 예수도 자주 배를 이용했다. 예수가 제자들과 이동할 때 마침 폭풍이 몰아쳤다. 넘실대는 파도가 배를 뒤흔들어가며 위태롭게 만들었다. 제자들이 놀라서 곤히 잠자고 있던 예수를 깨웠다. 마가복음에 “물이 배에 거의 차게 되었다”(4장 37절)라고 기록되어 있다. “주님, 구해주십시오. 저희가 죽게 되었습니다.”(마태 복음 8장 25절).
눈을 뜬 예수는 당황해 어쩔줄 모르고 허둥대는 제자들을 나무라고 자리에서 일어나 호수를 향해 꾸짖었다. 기적이 일어났다. "호수가 아주 고요해졌다”(마태 복음 8장 26절). 이 광경을 눈앞에서 목격한 제자와 동행자들이 말한다 “이분이 어떤 분이시기에 바람과 호수까지 복종하는가?”(마태 복음 8장 27절)
믿음이 강한 사람들은 이처럼 마테복음과 마가복음에 기록된 이야기를 문자 그대로 해석해서 그냥 이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만 인문 사회과학자들의 해석은 다르다. 이런 문자 그대로 믿고 따르는 삶 속에 숨겨지고 잊혀질 수 있는 사건의 맥락과 의미를 찾아서 현 시대에 맞게 부활시키는 것이 학자들의 책무다.
배멀미 사건은 현대적으로 운전자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사건이다. 직선으로 뻗은 고속도로를 운전하는 상황이라면 가장 좋은 역할이 조수석에 앉아서 운전을 걱정하지 않고 편하게 경치를 즐겨가며 이동하는 것이다. 하지만 꼬불꼬불한 고갯길을 운전할 때는 상황이 역전된다. 조수석에 앉아 있으면 극심한 멀미를 경험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운전석를 잡은 사람은 이런 멀리를 경험하지 않는다. 운전대를 잡고 주어진 현실 속에 일인칭 주체로 깊숙하게 들어가 있는 사람들 멀미가 먼나라 이야기다. 멀미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모두 현실이 고속도로라고 생각하고 운전수의 역할을 남들에게 맏기고 조수석에서 삼인칭 객체로서의 삶을 사는 사람들이다. 머리 속으로 상상하는 길은 직선으로 뻣은 길이지만 현실의 길은 구불구불한 고갯길이고 여기에 운전대도 놓치고 있기 때문에 지독한 멀미를 경험한다.
21세기에 우리가 운전해야 할 현실은 고속도로는 아니다. 꼬불꼬불하고 롤러코스트 같은 길이 우리에게 전개된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삶에 대한 일인칭 주체로서 운전수의 역할을 빼앗긴 사람들은 누구나 멀리를 경험한다.
예수의 갈릴리 호수가 은유하는 바도 비슷하다. 그당시에는 자동차가 없었기 때문에 멀미를 설명하기 위해 배가 동원된 것이다. 배멀미는 자신과 하나님을 이어주는 믿음의 꼬불꼬불한 여행 길에 자신이 일인칭 주체로 나서 운전대를 포기하고 삼인칭 객체로 예수가 믿음을 떠 먹여주는 관객이자 조수석에 살고 있는 제자들의 삶을 은유한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삶도 갈릴리 바다에서 극심한 배멀미를 경험하는 제자들의 삶과 다르지 않다. 요즈음처럼 변화가 상수가 된 시대에 직장에서 일을 한다는 것은 폭풍이 몰아치는 갈릴리 호수에 던져진 제자들의 상황과 같다. 롤러코스트처럼 이어지는 변화무쌍한 직장생활 속에서 목적을 향한 믿음을 잃은 상태에서 조수석에 앉아 있거나 조수석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강요당하고 있기 때문에 직장생활에 멀미를 느끼는 것이다.
회사가 운전대를 내어주지 않는다고 비난할 수 있지만 이것은 자기합리화를 위한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설사 회사가 목적과 사명이 없는 회사라고 해도 직장인이라면 회사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던 인정하지 않던 자신이 하는 일이 지향하는 바를 기반으로 암묵적 목적을 설정하고 이 목적을 향해 자신의 일(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수로 나설 책무가 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경험하는 멀미와 공포는 운전대를 빼앗긴 직장인들이 느끼는 주관적 현실이다.
신자유주의가 풍미하던 때는 대부분 회사의 HR은 자신의 종업원이 운전수로 나서는 것을 금지했다. 회사는 직원들에게 회사에 출근할 때 자신의 믿음과 생각은 문 밖에 걸어놓고 회사에는 몸만 가지고 들어와서 시키는대로 일할 것을 주문했다. 자신의 믿음과 생각은 퇴근할 때 다시 찾아가도록 강요했다. 일사분란하게 높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회사를 경영하는 것이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와 같던 시절의 이야기다.
지금은 어떤 회사도 자신들이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라고 믿지 않는다. 롤러코스트 고갯길을 운전하는 회사는 종업원에게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운전대를 다시 쥐라고 강하게 요청하고 있지만 20여년간 조수석에 길들여진 종업원들이 하루 아침에 이런 요청에 따라 운전석에 앉을 수 없다.
극심한 멀미와 이유를 알 수 없는 공포가 21세기 대한민국 직장인들이 공통으로 경험하는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