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4-12 12:45
[N.Learning] 나이가 들면 시간이 허무하게 빨리 가는 비밀:
 글쓴이 : 윤정구
조회 : 2,794  

나이가 들면 시간이 허무하게 빨리 가는 비밀:

사람들이 100세까지 해로 한다고 가정할 경우 중간 지점인 50을 넘으면 시간이 활처럼 빠르다는 것을 실감한다. 내가 체험하는 시간은 상대적이어서 마치 서로 마주 오는 기관차를 타고 반대편에서 달려오는 기차를 바라보는 것과 같은 체험이다. 내가 타고 있는 기차의 속도는 마주 달려오고 있는 내 삶의 또 다른 기관차의 속도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서로 마주 보고 달려오는 기차는 교차 지점에 도달하기 까지 속도는 느리게 다가온다. 하지만 50의 교차점을 지나는 순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달리는 기관차의 속도는 가공할만하게 빨라진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인생의 언덕을 힘들게 올라갈 때 느끼는 시간의 체험과 인생의 고개를 넘어서서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순간에 대한 체험이 다른 것과 같은 원리이다. 인생의 고갯길을 올라갈 때는 매 순간 순간마다 힘들어서 공을 많이 들여야 한다. 세상과의 교류도 많아진다. 하지만 내려갈 때는 힘들지 않고도 내려갈 수 있으므로 공을 들여야 할 이유가 없다. 세상과의 교류도 줄어든다.

이 같은 시간의 체험은 똑 같은 시간에 100장의 활동 사진을 찍어서 돌리는 것과 10장의 활동 사진을 찍어서 다시 돌리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두 경우 다 물리적인 시간은 같지만 체험한 시간은 물리적 시간의 구속을 받지 않는다. 물리적 시간은 똑 같았다 하더라도 체험한 시간은 100장의 사진과 10장의 사진을 똑 같은 속도로 돌릴 때 느끼는 시간이다. 인생의 언덕을 올라갈 때 찍은 젊은 시절의 삶을 담은 100장의 사진과 언덕을 내려가는 중 장년기에 찍은 10장의 사진을 똑 같은 속도로 돌리면 100장의 사진을 다 관람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슬로 비디오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인간의 뇌는 시간에 대한 다른 체험과 이 체험을 자신의 편의에 맞게 편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의 뇌는 체험한 시간을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은 슬로 비디어로 만들어 놓고 불리한 부분은 빨리 돌리는 모드로 편집해서 재구성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의 뇌는 특히 과거에 화려했던 부분을 부각해서 편집한다. 노인이 되면 과거의 화려했던 때의 영광을 반복하고 또 반복해서 자주 이야기하는 이유가 그것이다. 노인들에게 시간이 고무줄이 되는 이유는 젊은이들에 비해서 기억의 편집 분량이 많고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은 늘리고 불리한 부분은 줄이기 때문이다.

화살처럼 돌아가는 시간의 속도를 멈추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당연히 있다. 뇌를 속여서 시간의 다른 체험을 하게 하는 방법이다. 뇌는 똑똑하지만 상상적으로 하는 체험과 실제로 하는 체험을 구별하지 못한다. 이 방법은 인생의 정점을 50대라고 하고 이를 도달하기 위한 베이스 캠프를 40대라고 한다면 인생의 정점을 60대로 옮기고 이를 도달하기 위한 베이스 캠프로 50대로 옮기는 것이다. 10년은 더 젊게 살 수 있도록 뇌를 속이는 것이다. 아니면 60이 되었을 때 지금까지 살아왔던 인생과는 또 다른 인생의 멋진 삼막사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인간의 뇌의 또 다른 특성은 자신 삶의 마지막을 중심으로 이전의 사건들을 편집하는 능력이다. 인간의 뇌는 사람들에게 과거의 삶보다 마지막에 어떤 삶을 살았는지에 따라 사람 삶의 스토리를 편집하여 구성한다. 과거에 아무리 날고 기는 삶을 60-70년 동안 향유했다 하더라도 말년 10년이 불운했다면 뇌는 그 사람의 삶을 결론을 중심으로 불운한 것으로 편집한다.

인생의 마지막에 베이스 캠프로 다시 옮겨 자신이 다시 삶의 주인공으로 드러나는 드라마로 마무리해주는 것은 그 사람의 남은 여생을 행복한 기억으로 살 수 있도록 결정해주는 중요한 일이다. 남은 여생의 행복은 바로 이 마지막 해피 엔팅의 스토리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