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2-07-03 14:54
[N.Learning] 목적함수
 글쓴이 : Administra…
조회 : 3,311  
진성리더의 목적함수
성과를 넘어 변화
아인쉬타인은 많은 좋은 언명을 남겼지만 그 중 최고의 언명은 "문제에 대한 답은 문제와 같은 수준에서는 찾을 수 없다"는 조언이다. 실제로 CEO들의 문제해결능력을 보면 대부분 문제가 표면화된 것도다 더 깊은 곳에서 원인을 찾고 더 높은 곳에서 문제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들만 제대로 문제를 해결한다.
2004년 이전까지 에베르스트를 정복하는 사람의 숫자는 매년 평균 2명 내지는 3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숫자가 2004년을 기점으로 매년 300명 이상으로 튀었다. 많은 설명이 있겠지만 해답은 베이스 캠프에 있었다. 무슨 이유인지 2004년 이전에는 베이스 캠프를 2000M 정도에 설정하는 것이 규범이었다. 누군가의 시작으로 이 베이스 캠프를 6000M로 옮기는 실험이 시작되었고 이 사람의 등반 성공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람들은 모두 베이스 캠프를 옮겼고 이것이 결국 300명이 넘는 등반 성공자를 만든다.
베이스 캠프가 2000M에서 6000M로 높아졌다는 것은 등반을 설명하는 등반가의 정신모형의 목적함수가 더 높은 곳으로 옮겨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반실력이나 장비가 좋아진 것이 아니라 정신모형의 전환이 이런 결과를 만든 것이다. 실제로 100% 성과를 달성하는 목적함수를 설정해서 일하는 사람은 70%의 성과밖에는 달성을 못하지만 목적함수를 높여서 130%바꾼 사람은 100%를 달성한다.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에 대한 정신모형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돈도 마찬가지다. 돈을 목적함수로 삼아서 돈을 벌기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은 결국 큰 돈을 만지지 못한다. 돈을 반드시 벌어야 하는 신성한 이유를 목적함수로 삼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돈이 따라오게 만들 수 있는 더 높은 목적함수를 가진 사람들만 큰 돈을 만진다. 거부들은 일반 사람들과는 다른 목적함수를 가진 사람들이다.
변화가 상수로 받아들이는 지금과 같은 초연결 디지털 시대에 진성리더에게 필요한 것은 자신의 목적함수를 점검하는 일이다. 지금까지는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 목적함수의 종속변수로 설정되왔지만 진성리더들의 목적함수에서 종속변수는 성과를 달성해서 의미 있는 변화를 체험하는 존재목적이다. 존재목적이 종속변수라면 기존에 종속변수였던 성과와 목표는 매개변수이고 이것들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자원동원과 관련된 변수가 독립변수이다. 진성리더의 삶이 최적화(Optimization)되어 긍정적 낙관주의(Optimism)을 누릴 수 있는 비밀은 존재목적을 종속변수로 실현시켜 삶을 전체 최적화시키는 목적함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목표를 최종 종속변수로 삼는 삶은 부분최적화의 삶이다. 이런 방식으로는 최적화(Optimization)를 통해 낙관주의(Optimism)를 얻을 방법이 없다.
20세기 초까지도 영국은 여성들에게 참정권을 주지 않았다. 의회는 남성만으로 채워졌고 모든 법률은 남성을 위한 법률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 당시 여성 운동의 선각자였던 에멜린 팽크허스트 Emmeline Pankhurst 여사가 "여성에게도 참정권을 달라"고 시위하기 시작했다. 판크허스트는 1908년에서 1914년까지 13번이나 투옥되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1914년 제 1차 대전이 발생했고 전쟁이 지속되면서 영국의 모든 젊은 남성들이 죽어나갔다. 전쟁에 패배한다면 영국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를 직시하고 팽크허스트는 목적함수를 여성의 참정권 쟁취에서 영국의 생존으로 바꾸었다. 목적함수를 바꾼 후 팽크허스트 여사는 참정권 쟁취 투쟁을 잠시 접어두고 전쟁에 나가서 희생하는 남성들을 돕기 위해 여성들도 군수공장에 가서 군수물자를 만들자라는 캠패인을 주도했다. 전쟁이 연합군 승리로 끝나자 영국정부는 여성들의 공로를 치하하기 위해 1918년 3월 여성들의 참정권을 의회에서 비준했다. 13차례나 투옥되면서도 해결할 수 없었던 여성의 참정권을 목적함수를 바꿈을 통해 해결한 것이다.
팽크허스트가 여성참정권을 달성할 수 있었던 이유도 여성과 남성이라는 정치적 싸움의 분절된 감옥 속에서 나와서 영국의 생존을 목적함수의 종속변수로 다시 설정하고 남성들과 직조되는 여성의 삶을 매개변수로, 군수공장에 참여를 독립변수로 설정해서 전체 최적화된 목적함수를 실현했기 때문이다. 여성리더십도 마찬가지다. 남성 숫자에 버금가는 여성리더를 만들어내는 것이 종속변수라고 한다면 이것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대신 여성이 먼저 여성 남성이 문제되지 않는 존재목적을 발견해서 이것을 종속변수로 더 나은 변화를 실현했을 때 남성과 여성은 공동으로 이 여성 당사자를 리더로 세운다. 여성리더라는 자리는 남성과 싸워서 쟁취하는 자리가 아니라 공동의 존재목적을 실현한 결과로 자연스럽게 따라온 것이다.
존재목적을 목적함수의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변화를 만드는 이유가 있다. 자신들이 얻고자 하는 것이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범주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냐라는 지지자들의 의구심에 일일이 응답해야 하는 에너지를 축적해서 실제로 이들의 지지를 받아 공동목적을 실현시키는 일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진성리더는 그가 어느 자리에서 어떤 조직을 위해 일하던 자신이 기여할 수 있는 존재목적을 찾아 이것을 최종 종속변수로 정하고 기존의 종속변수였던 성과와 목표를 매개변수로 성과와 목표를 달성하는데 동원되는 자원을 독립변수로 변환시키는 전체 최적화의 안목을 가진 사람을 지칭한다. 어디에 있던 목적을 중심으로 전체 최적화를 시키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 설사 조직이 설사 목적을 상실했어도 조직을 핑게로 물러서기보다는 스스로가 암묵적으로 찾아낸 조직 목적을 찾아 목적함수를 실현하는 일을 멈추지 않는다.
진성리더가 스스로 찾아낸 존재목적을 중심으로 자신을 주인으로 세우는 노력을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보다 높은 성과를 산출한다. 진성리더는 존재목적을 잃은 기업에서 조직의 리더로 세워질 개연성이 더 높다. 진성리더들에게 목적과 사명을 잃은 회사는 노다지 광산이다.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