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는 배를 이끌고 목적지를 향해하는 선장이다. 목적지에 제대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지도와 지도를 읽고 상황에 따라 의사결정하는 독도법 능력이 필수적이다. 지도도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구성원을 이끄는 리더는 정말 위험한 리더들이다. 이런 리더는 목적지에 이르는 길에서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탈로해서 이끄는 집단과 조직을 곤경에 빠트린다.
첫째, 제대로 된 나침판과 네이게이션 둘 다를 준비해야 한다. 나침판은 자신의 목적지인 진북에 대한 길을 잃어버렸을 때 길을 찾도록 도와준다. 네비게이션은 어떤 지점에서 어떤 지점까지 이동을 결정했을 때 모든 장애를 염두에 두고 가장 효율적이고 빠른 길을 인도해준다.
제대로 된 좋은 나침반과 좋은 네비의 속성이 있다. 나침반은 다양한 파장 속에서도 북쪽을 가르치는 극성을 유지해야 하고 네비는 충분히 업데이트 되어 있어야 한다. 나침판이 극성이 떨어져서 북쪽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다면 아무런 쓸모가 없고 네비가 업데이트가 안 되어 있어서 현재 변화된 도로 상황을 집어내지 못한다면 오히려 구성원을 위험으로 이끈다. 나침반은 목적지와 여기에 도달할 수 있다는 신념을 제공해주는 반면 네비게이션은 환경변화를 올바르게 읽고 의사결정할 수 있도록사실에 대한 인식을 도와준다. 많은 리더가 신념이 강하면 사실맥락에 대한 인식능력이 떨어지고 사실에 대한 인식능력이 있으면 목적지에 대한 신념이 결여되어 있다. 둘다 목적지에 이르지는 못한다. 반면 극성이 있는 나침반과 업데이트가 잘 된 네비를 다 가지고 있다면 현실을 기반으로 미래를 정확하게 내다보는 현실적 낙관주의자의 안목을 획득한다.
둘째, 지도를 읽어내는 기법이 문제이다. 북쪽을 염두에 두고 어떤 지점에서 어떤 지점으로의 이동이 결정되었다면 리더는 전통적 전략이 아니라 시나리오 기법으로 지도를 읽어야 한다. 전략의 맹점은 상황을 다 이해하고 자신과 상대의 강점도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만들어진 것이어서 현재처럼 상황도 파악할 수 없고 적과 아군도 구별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학문적 용도 이외에는 전혀 쓸모가 없다. 시나리오 기법이 유용하다. 시나리오 기법은 어떤 지점으로 이동할 경우 생길 수 있는 가능한 돌발변수를 예측해 대응게 한다. 위험이 실제 현실화 될 경우 어떤 처치를 취할 것인지 상황에 대응한 계획을 미리 준비한다.시나리오 기법이 아닌 전통적 전략의 기법을 쓰는 사람들은 자신의 예측이 틀리면 그대로 맨붕에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하지만 시나리오 기법을 쓰는 사람들은 상황이 사실과 달라도 쉽게 원상태를 복원한다. 실제로 시나리오가 탄탄하다면 이 시나리오에 잡히지 않는 상황이 발생해도 이미 작성된 탄탄한 시나리오를 수정해서 그때 그때 필요한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지도를 따라가는 과정에서 위협요소나 기회요소가 나타나면 이것을 포착하기 위해 끊임없이 실험한다. 예를 들어 위험요인이 나타난 경우 뛰어난 리더들은 먼저 실험적으로 총쏘고 실험이 끝난 후 대포쏘기 전략을 쓴다. 전통적 전략개념에 익숙해 있는 사람들은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도 개념 않고 대포를 쏘는 방식으로 승부하지만 현대처럼 복잡한 예측불가능을 전제로 하고 전쟁을 하는 사람들은 위험요소가 발발하면 먼저 소총으로 가늠을 하고 이것이 비슷하게 맞다는 결론이 내려지면 대포로 공격한다. 대단위의 전략적 결정을 하기 전에 일종의 비용이 안 드는 소총으로 실험사격을 먼저하고 영점이 제대로 정해지면 대대적 전략으로 밀고 나가 승부를 본다.
기회요인을 포착하기 위해서도 끊임없이 실험, 실험, 실험을 한다. 실험은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서 실패를 통한 학습과정이다. 뛰어난 리더는 실험을 통해서 자신의 전략적 결정이 맞는지 틀리는 지를 끊임없이 테스트한다. 실험을 통해 자신이 세상을 항해하는 스토리가 울림을 창출해서 신크로나이즈가 되는지 끊임없이 확인한다.
넷째, 뛰어난 항해사로서 리더는 적어도 다음의 두 가지 학습에 매진한다. 하나는 통찰력을 기르기 위한 공부이고 다른 하나는 직관력을 기르기 위한 공부이다. 맹인들은 시야가 없기 때문에 마음으로 보는 직관력은 뛰어나지만 눈으로 보는 통찰력은 기르기 힘들다. 맹인들이 코끼리를 만져서 코끼리의 모습을 유추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한다면 맹인들은 코끼리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지 못한다. 통찰력은 전체를 볼 수 있는 안목이다. 통찰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더 높은 곳에서 보고 더 시간적으로 긴 안목으로 사물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정상적인 사람들은 통찰력에 상대적 장점이 있는 반면 보이는 것만 믿는 경험주의자이기 때문에 마음으로만 볼 수 있는 숨어있는 패턴들을 찾아내는 직관력이 결여되어 있다. 직관력은 사물의 본질이나 마음 속으로 깊이 들어가서 직접 체험할 수 있을 때 생기는 것이다. 아무리 머리가 뛰어나도 사물 속에 숨어 있는 정서적 흐름을 체험해 자신의 문제로 내재화 할 수 있는 궁휼감 (Compassion)이 없다면 세상의 숨은 사실들을 찾아내는 직관력은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뛰어난 직관력을 위해서 리더들은 항상 현장에서 구성원들과 아품을 같이 체험하는 동고동락을 한다.
정리하면 리더가 지금처럼 한 치 앞도 내다 볼 수 없는 어려운 상황에도 뛰어난 항해사가 되는 이유는?
첫째, 나침반과 네비를 다 가지고 있다.
둘째, 즉흥적으로 수정가능한 시나리오 기법을 쓴다.
셋째, 총쏘고 대포쏘기 전략처럼 실험을 중시한다.
넷째, 통찰력과 직관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