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8-06-15 06:21
[N.Learning] 우리 시대의 급진적 거북이
 글쓴이 : 윤정구
조회 : 1,946  

우리 시대의 급진적 거북이:
고 LG 구본무 회장

급진적 거북이란 본인의 저서 <100년 기업의 변화경영>에서 설파한 100년 기업으로 진입하는 회사들의 원리다. 목적지에 대한 믿음에서는 누구보다 강한 급진성을 보이는 반면 이 목적지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거북이처럼 할 수 있는 것에서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에서 지금 가진 것만 가지고 시작할 수 있는 것에서 변화를 시작한다. 이들은 잠자는 토끼들을 깨워가며 토끼들과 협업해 꾸준히 한 발 한 발 내딛는 방식으로 변화를 일궈나간다. 또한 이를 이끌어가는 리더십도 카리스마 리더십보다는 강직하지만 따뜻한 옆집 아저씨 모형이다.

1995년 회장 취임 후 타계하기 직전까지 계열사 임직원들에게 항상 똑 같은 톤으로 일관되게 “세계 최고가 되기 위해서는 과감히 도전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일단 세계 최고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우면 그 과정이 어렵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중도에 포기하거나 단기 성과에 급급해하지 않고 부단히 도전해 달라."고 급진적 거북이 모형을 주문했다.

구본무 회장이 100년 기업으로 향한 LG에 급진적 거북이 모형을 선보인 것은 LG 디스플레이, LG 화학, 지주회사 전환, 계열분리 과정을 통해서이다.

급진적 거북이 경영자로의 정수는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빛났다. 큰 손실을 감수하고 반도체를 현대에 넘겨주어야만 했던 억울한 빅딜에 자포자기하지 않고 액정 사업을 제 2의 반도체 사업이라고 규정하고 액정에 집중해서 LG 디스플레이를 일궈냈다. LG 디스플레이는 LCD 분야의 초일류기업이고 차세대 기술인 OLED 기술도 세계 최초로 성공시켰다.

LG 화학을 중대형 뱃터리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일궈냈다. 미래의 기술의 원천을 재생가능한 이차전지와 이차전지를 확장한 자동차 뱃터리 사업으로 규정하고 R&D에 집중했다. 90년대부터 투자해서 계속 적자가 남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말고 길게 보고 투자와 연구·개발에 더욱 집중하라. 실패했어도 꼭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다시 시작하라."고 경영진에게 급진적 거북이 자세를 주문했다. 뱃터리 부문은 전기차가 표준으로 받아들여지면 LG의 확실한 미래의 먹거리 사업이 될 전망이다.

구본무 회장은 경영진에게 정도경영을 하는 급진적 거북이 자세를 주문했다. 정도경영의 진수는 지주회사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통합지주회사 (주) LG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다른 재벌기업과는 달리 편법을 동원하지 않고 유상증자를 통한 공개매수라는 정도를 택했다. 사업 자회사들도 동시에 공개를 추진하는 방식을 써서 지주회사의 주가가 떨어지는 막대한 손실을 감수하고라도 정도를 택했다. 지배구조개선에 들어간 비용은 결국 목적투자를 위해 쓴 돈으로 볼 수 있다. (주) LG는 지주회사 전환의 한국 표준을 설정했다. 한국 기업들의 지배구조개선에 기여한 공로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천문학적 기여이다. 이번에 구광모로 승계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들어갈 1조로 예상되는 세금도 투명하게 집행할 것으로 보여진다.

구본무 회장의 급진적 거북이 경영자로서의 면모가 드러난 것은 2005년 3월 31일 3대째 내려오면서 57년간에 걸친 구씨와 허씨 동업 시대에 마침표를 찍고 아름다운 이별로 마무리 한 건이다. 2004년 7월 LG가 다시 두 개의 순수지주회사인 LG와 GS홀딩스로 분할됐고 GS그룹은 2005년 3월 완전히 계열분리되었다. 구본무 회장은 현금 흐름이 좋은 알짜 사업인 금융업·전선·정유·건설·유통 등을 넘겨주고 몸으로 어렵게 사업을 해야 하는 사업부문만을 챙겼다. 눈 앞의 이익을 챙기지 않는 아름다운 이별이라고 칭하는 이유이다. 현금흐름이 좋은 사업영역이 현격하게 줄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LG그룹의 시가총액은 7조원에서 82조원으로 불어났다. 계열분리 이후 매출도 다섯 배 정도 늘었다.

급진적 거북이 경영자로서 가장 큰 공과는 뛰어난 자신과 같은 급의 CEO를 키웠다는 점일 것이다. LG에는 구본무 회장급의 급진적 거북이 경영자들이 포진하고 있다. 이들은 카리스마를 발휘하지 않기 때문에 신문지상에는 자주 오르내리지 않지만 조용하게 LG의 혁신과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눈여겨 볼 차세대 급진적 거북이 경영자들로 지주회사를 이끌고 있는 하현회 부회장, 가전을 이끌고 있는 조성진 부회장, 생활건강을 이끌고 있는 차석용 부회장을 들 수 있다.

LG는 미래의 먹거리 사업으로 B2B와 자동차 뱃터리와 전자부품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자동차전장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표준으로 설정되고 자동차가 소프트웨어 산업으로 전환되면 현대차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은 아마 LG가 될 전망이다.

100년 기업으로 탄생하는 것은 시간의 검증을 어떻게 넘어서는지에 달려 있다. 시간의 검증은 총수가 시간을 앞서서 자신들의 업의 본질을 제대로 정의하고 이 본질을 현재로 가져와서 자신의 실험실에서 실험하고 검증해서 이 결과를 제품이나 서비스에 실어서 사업의 본질인 목적을 팔 수 있는 목적경영을 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미래로 흐르는 목적을 찾아 먼저가서 미래를 기다리는 사람들만이 시간을 선도해서 100년 기업의 고지를 넘을 수 있다. 기업의 미래는 사업가 자신이 남긴 족적을 미래세대가 자발적 마음으로 받아들여 자신의 기억의 한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편입시킬 때 만들어진다. 구본무 회장은 이런 <미래의 실험장>으로 마곡에 LG 사이언스 파크를 완성하도록 동생 구본준회장에게 마지막 유지를 남겼다.

구본무 회장이 남긴 LG의 스토리가 현재 살아 있는 우리의 마음을 흔들어 우리의 기억의 일부분으로 자연스럽게 편입되어진다면 LG는 미래를 선도하는 100년기업으로 자연스럽게 탄생할 것이다. LG가 대한민국에서 재벌로는 자신의 목적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목적경영의 효시가 되는 것이다.

구본무회장은 다른 재벌총수과는 구별되는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육군병장 만기제대가 그 이력이다.

#목적경영
#100년기업의변화경영
#구본무회장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