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자의 성품이 기업의 문화를 만든다.
성품은 문화의 씨앗
많은 사람들이 성품, 성격, 인격의 쓰임새를 오해하고 있다. 오해가 생기는 이유는 비슷한 용어가 정확한 의미가 구분되지 않고 혼용되어서 사용되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성격, 인격, 품성 등은 비슷하지만 다른 단어들이다. 성격은 영어의 personality에 해당하고 인격은 성격이 좋은 사람들을 높혀 부를 때 사용한다. 품성은 영어로 character이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품성 혹은 품성을 높여 부를 때 사용하는 품격 higher class of character 이다.
성격 personality 은 가치중립적 용어이다. 미네소타 대학의 일란성 쌍동이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된 성격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성격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50% 양육되는 부분이 50%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성격은 주로 청소년기까지 완성되는데 이때까지 양육을 책임지는 대부분의 역할이 부모이다. 따라서 비슷한 유전자의 부모가 가진 성격이 그대로 양육 나머지 50% 부분에도 전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겉으로 보기에 성격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처럼 보인다. 성격의 내용은 다 부모에 의해서 채워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과학적 연구결과는 타고난 부분 50% 양육된 부분 50%이다. 타고난 50%는 절대로 고칠 수 없지만 부모가 양육시킨 나머지 부분은 자신의 노력에 의해서 다시 변화될 수 있는 부분이다.
부모의 양육에 의해서 채워진 50%는 부모와 독립해서 삶을 살게 될 때 자신의 삶의 가치관이나 삶의 존재이유, 철학, 정체성에 의해서 다시 주체적으로 바꿔질 수 있다. 성품 character란 부모가 양육시킨 부분을 자신이 주체적으로 바꿔서 만들어냈을 때를 지칭한다. 성품이란 자신이 채워넣을 수 있는 50%의 부분을 자신이 주체적으로 채워넣은 경우를 말한다. 자신이 만든 자신만의 인격이다. 좋은 인성의 부모에 의해서 길들여졌다 하더라도 자신의 철학, 가치관, 목적 등이 자신의 삶에 내재화되어 자신의 믿음으로 공고해지지 못했다면 좋은 인성은 있어도 품성은 없는 것이다. 품성은 자신의 철학과 자신의 정체성 자신의 삶의 목적에 의해서 스스로 내용이 만들어진 인성의 부분을 지칭한다. 좋은 인성은 좋은 토양일 뿐이다. 품성은 이 좋은 인성의 토양에 자신만의 향그러운 과일나무가 심어져 향그러운 과일을 나눠줄 수 있는 상태를 상징한다.
좋은 철학, 목적, 가치관 등을 말로는 할 수 있어도 이것을 내재화하여 믿음으로 공고하게 만드는데 실패해서 행동이나 태도로 자연스럽게 보여줄 수 없을 때 성품은 분절된다. 흠집이 있는 다이어몬드이다. 또한 좋아 보이는 성품은 포장이거나 조화에 불과하다. 실제로 내재화된 품성처럼 살아 있는 꽃으로 향기를 풍기지 못한다.
사람됨의 크기는 내재화한 철학이나 내재화한 삶의 목적의 크기이다. 이 철학이나 삶의 목적이 내재화되었다는 것은 이것이 믿음으로 체화되었다는 것이다. 믿음으로 체화된 목적은 삶의 국면 국면에 파고들어 이 사람의 존재감을 형성한다. 리더의 존재감의 원천은 결국 성품일 것이다.
대한항공 집안처럼 부모와 자식이 사회적으로 이해할 수 없은 성품을 가진 사람이 조직을 장악하고 있을 때 조직은 한 가운데 큰 쓰레기 하치장 하나를 유치하고 있는 격이다. 핵심인재들이 모두 조직을 벗어가기 위해 노력한다. 반면 오뚜기 가문처럼 부모와 자식이 모두 좋은 성품을 가지고 있을 때 조직의 한 가운데에는 산소가 펑펑 품어져 나오는 숲 하나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이 숲은 구성원들을 활기차게 할 뿐 아니라 좋은 사회적 자본을 자석처럼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결국 창립자나 CEO의 성품이 조직의 성격인 조직의 문화를 만드는 것이다. 품격있는 조직문화의 씨앗은 설립자의 성품이다.
대한항공의 조종사가 자신들의 게시판에 자조적으로 돌연변이에 의해서 "좋은 인성을 가진 자손이 태어나길 바랄 뿐이다"라고 쓴 내용이 품성이 조직에서 의미하는 바를 웅변적으로 전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