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1-02-11 14:20
글쓴이 :
윤정구
 조회 : 4,207
|
첫째 계단은 자신이 창의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믿고 이 정체성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신의 창의성에 대한 정체성이 없다면 창의적 아이디에 대한 실험은 밑빠진 독에 물 붓는 격이다. 창의적인 사람이라는 정체성은 모든 창의적 행동에 포커스를 제공해주고 이 활동들에 긍지를 심어주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믿음은 고정관념의 감옥에 갇힌 자신을 해방시켜주기도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창의적인 사람이라는 정체성에 대한 프라이드는 사람들에게 창의성이 불러오는 내재적 가치에 몰입해 창의성 자체에서 보상을 느끼게 하고 끊임없이 창의성에 몰입하게 하는 힘을 길러준다. 창의성 과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 자신이 창의적인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믿음을 발전시켜나가는 일이다.
둘째, 가능한 많은 새로운 자극에 노출시켜라. 자극은 다른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될 수도 있고 책을 읽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최상의 자극에 노출시키는 방법은 아무런 준비없이 여행을 떠나는 것이다. 여행은 자신이 지금까지 살던 세계와 총체적으로 다른 세계에 대한 자극을 선물해준다. 자신이 살던 세계에 대한 고정관념과 정신모형을 녹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신의 직업과 무관한 세계의 자극에 대한 노출은 창의성이라는 기름에 물을 붓는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최대한 다른 경험을 줄 수 있는 자극에 자신을 노출시켜야 한다.
셋째, 자율성의 울타리를 만들고 이를 실패에 대한 bottom line으로 이용해라. 자율성은 정해진 울타리 범위에서 마음껏 실험하고 실수할 수 있는 bottom line을 제공해준다. 자율성이 울타리 안에서 자유롭게 실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범위에서 마음껏 실수를 할 수 있다는 학습에 대한 안정지대를 제공해준다.
넷째, 상상력을 이용해 문제에 대한 창의성의 플랫폼을 솔루션으로 제공하라. 창의성은 대부분 필요에서 나올 경우가 많다. 기존의 실패한 여러가지 사항들을 종합한 새로운 솔루션으로 차이를 드러낼 수 있는 아웃풋 이미지를 창출해라. 아웃풋 이미지는 스토리를 품고 있으면 더욱 좋고 그러기 우해서는 명료하게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최대한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기존의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한 아웃풋 이미지를 창출하라. 이 아웃풋 이미지는 단지 상상적 이미지일 뿐이지 구체적 해결책이 담겨져 있는 실용적 상태는 아니다.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없으며,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해 내지 못하면 다른 사람이 묘사한 세계에 머물 수 밖에 없다 (폴 호건). 상상력으로 우리가 가진 현재의 솔루션에 최대한 차이를 드러낼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한 아웃풋 이미지를 만들어라.
다섯째, 소통하고 협력하라. 솔루션에 대한 아웃풋 이미지가 명료하게 창출되었으면 이를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에게 소통하고 이들과 협력해서 실용적 솔루션을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하라. 집단적 지성의 힘은 큰 솔루션을 염두에두고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할 수 있을 때만 만들어진다. 아무리 개인적으로 창의적이라 하더라도 평범한 여러사람들이 다른 시각으로 공유해 만들어낸 대안을 이길 방법이 없다. 시너지 효과를 최대한 거둘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라.
여섯째, 실험하고 또 실험하라. 실용성을 가진 창의적 아이디어들은 결국 무수히 많은 실패를 통해서 달성된다. 에디슨은 모든 실험에서의 실패를 최종적 창의성을 위한 학습과정으로 규정하고 있다. 결국 실패라기 보다는 이 실패를 학습의 과정으로 여기로 실험하고 또 실험하는 자세만이 창의성의 열매를 거둘 수 있는 지름길이다. 상상력만으로는 창의성을 꽃피우기 힘들다. 이 상상력을 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힘은 끊임없는 실험이라는 실천력이고 행동이다.
창의성의 과정을 통해 실질적으로 창의적인 것을 만들어내는 것에 성공한다면 사람들은 자신이 창의적이라는 정체성의 이미지가 검증되어 자신도 모르게 이 창의적이라는 이미지가 신념으로 굳어지는 것을 경험한다. 이와 같은 믿음은 모든 사물을 다른 각도에서 보게 하는 습관을 만들어주고 모든 루틴들을 뒤집에 생각하는 버릇을 길러준다.
결론은 평범한 사람들도 이와 같은 원리를 터득하고 훈련하면 충분히 창의적 아이디어와 그에 관련된 실용적 발명을 무궁무진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이다. 중요한 점은 자신이 창의적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자신이 평범한 사람이라는 믿음의 덫에 갇힌 자신을 구해내는 일이다. 창의성은 체계적 훈련과 협업과 소통만 있다면 누구든지에 의해서 누구든지 쉽게 맛볼 수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