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 들어오면서부터 AI (appreciative Inquiry)나 긍정심리학 (Positive Psychology), 커뮤니티 심리학 (Community Psychology) 등의 학문적 경향과 더불어 긍정적 조직연구 동향의 새바람이 불기 시작했다.6 기존의 과학적 경향이 문제해결과정에 집중하던 경향에서 긍정적 일탈 (Positive Deviance)에 학문적 관심을 더 집중하여 이것의 잠재력을 전파하려는 노력이다. 긍정적 일탈은 조직이나 커뮤니티 어느 하위 부분에서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관행으로 조직이나 커뮤니티의 전 부문에 전파되지는 않았지만 벤치마킹하여 전파될 경우 굉장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관행을 말한다.
얼마 전에 남한산성초등학교에 대해서 매스컴에서 방영된 적이 있다. 이 학교는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졸업생들을 길러내는 학교로 유명하다. 중학교 고등학교로 진학한 졸업생들도 학원교육으로 무장한 일반 초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과 경쟁하면 초기에는 순발력이 떨어져서 성적이 떨어지지만 결국에는 더 심도 있게 창의적으로 문제를 푸는 능력을 발휘하여 훨씬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졸업생들이 좋은 대학에 진학하여 지나간 소회를 말하는 경우 반드시 이 학교에서 훈련하고 배운 학습의 힘이 도움이 되었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다. 이 학교의 교육방침은 사교육과 경쟁에 의존하지 않고도 새로운 것을 배우게 하는 것이다. 또한 배운 것을 친구들과 토론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서 협업학습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준다. 방과 후에는 동아리 학습을 통해서 실험하고 창의성을 기르는 것을 기본으로 훈련시킨다. 이와 같은 학습방법이 매스컴을 통해서 알려지자 이 학교로 전학하기 위해서 위장전입을 하는 학부모들이 많이 늘어간다는 보도를 보았다. 남한산성초등학교는 사교육으로 멍들어 있는 현 교육의 풍토에 대한 긍정적 일탈의 대표적 케이스이다.
긍정적 일탈을 기본으로 한 조직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첫째, 변화의 탐구주제를 확립한다. 성차별에 대비한 남녀의 협업의 주제를 확립할 수도 있고, 고객 불만족에 대비된 고객만족의 주제를 탐구할 수도 있다. 둘째, 이 주제의 범위 내에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최고의 관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혁신에 대한 주제일 경우 구성원들을 인터뷰해서 혁신에 대한 최고의 관행이 될 수 있는 경험에 참여했던 본인들의 이야기를 수집한다. 셋째, 인터뷰를 통해서 얻었진 이야기들 속에 흐르고 있는 공통의 주제를 찾아낸다. 예를 들어 혁신에 대한 이야기라면 관리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탐구할 수 있도록 임파워링 한 것이 주제가 될 수도 있고, 아이디어를 산출하는데 동료들이 주웠던 도움이나, 고객과의 직접적이 접촉이 어떻게 혁신적 아이디어를 산출했는지의 주제 등 다양할 것이다. 넷째로, 이 주제가 조직전체에 구현되어 있는 비전화 된 미래상을 도출한다. 즉, 조직의 현재 상태를 극복하고 바람직한 미래의 상태를 연결해주는 가능성 명제 (possibility proposition)를 산출한다. 가능성 명제는 구성원들에게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명제여야 한다. 이 가능성 명제를 토대로 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해관계자들을 확립하고 요구되는 조직과정을 확립해야 한다. 마지막 과정이 명제를 토대로 실질적으로 행동계획을 진행시키고 이에 진행된 결과에 대해 평가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남한산성 초등학교의 경우에 이 방법을 적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변화의 탐구주제로는 학원에 의존하지 않는 초등학교의 전인교육 현장으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는 이와 같은 알려지지 않은 케이스로 남한산성 초등학교의 케이스를 긍정적 일탈의 케이스로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는 남한산청 초등학교의 커리큘럼에 나타난 창의성과 실험정신이 어떻게 학원에 의존하지 않고도 학생들을 훌륭하게 교육시키고 있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넷째로, 남한산성 초등학교의 실험적 커리큘럼을 최고의 관행으로 전파하여 사교육에 찌들어 있는 초등교육을 전인교육현장으로 변화시킬 가능성과 비전에 대해서 토의한다. 다섯째, 이를 실제로 전파하고 적용하고 이에 대한 적용 결과를 평가하여 피드백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