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의 각성적 사건
각성적 사건은 진성리더들에게만 일어나는 사건이 아니다. 많은 진성조직이나 심지어 국가도 각성적 사건을 경험한다. 포항제철 건립의 종자돈이 된 1억불의 돈은 대일청구권 자금이었다. 즉 우리나라를 36년간 식민지 지배한 일본에게 사죄금으로 받아온 돈이다. 한 마디로 일제에 의해서 죽음을 당한 치욕스런 나라의 사망에 대해서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않겠다고 각서를 쓰고 받아낸 국가의 목숨 값이었다. 포항제철 건설의 프로젝트를 맡았던 고 박태준 회장은 이 돈의 신성한 의미를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이 돈을 사용해서 만들어 낼 사명을 제철보국으로 정했다. 제철산업을 꼭 성공시켜 국가의 은혜를 갚겠다는 뜻이었다. 국가의 목숨 갚을 받아서 완성해야 하는 사업이니만큼 실패할 경우는 모두가 우향우해서 영일만에 빠져 죽을 각오로 필사적으로 몰입했다. 소위 우향우 정신이다. 포항제철 건설은 국가의 사명을 세우는 목적 지향적 프로젝트였다.
돈을 마련했어도 기술이 문제였다. 박태준은 일본의 3대 철강회사 사장과 소유주를 따라다니며 막무가내로 기술이전을 요구했다. 철강회사 소유주들은 박태준이 일본을 방문하는 일정에 맞추어서 휴가를 잡아 피해 다녔으나 휴가지까지 찾아내 집요하게 따라다녔다. 이때 일본에서도 한국에 제철소가 생겨도 수십 년 내 일본 수준을 절대로 못 따라 잡을 것이고 인접국에 철강 산업이 일어날 경우 긍정적 효과도 있을 것이라는 여론이 일어났다. 천우신조였다. 박태준은 마침내 뜻을 이루었다. 기둥 하나가 잘못 세워질 때마다 가차 없이 폭파시키는 그의 완벽주의 속에 제철소는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1973년 6월 9일 구호들은 모두 현실이 됐다. 마침내 제 1고로에서 쇳물이 쏟아져 나온 것이다.
그 사이 박정희는 3선 개헌을 밀어 붙였고 박태준에게도 동참하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박태준은 이 제의를 거부했다. 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이 포항으로 사람을 보내서 설득했으나 제철소 하나만으로도 바쁘다는 핑계로 거절했다. 보고를 전해들은 박정희도 박태준은 원래 그런 친구이니 건드리지 말고 놔두라고 지시한다. 정치를 잊고 제철소 건설에만 신경 써오던 1992년 연간 2100만 톤 양산체제를 구축하는데 성공한다. 박태준은 기념식 다음 날인 10월 3일 개천절에 국립묘지 박정희의 묘역을 찾는다. 이 자리에서 박태준은 한지에 붓글씨로 쓴 보고문을 낭독했다. "불초 박태준, 각하의 명을 받은 지 25년 만에 포항제철 건설의 대역사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삼가 각하의 영전에 보고를 드립니다. 혼령이라도 계신다면 불초 박태준이 결코 나태하거나 흔들리지 않고 25년 전의 그 마음으로 돌아가 잘사는 나라 건설을 위해 매진할 수 있도록 굳게 붙들어주시옵소서."
포항제철은 세계 최강의 철강 기업으로 성장했다. 글로벌 철강 분석 기관 'WSD'는 2011년 세계 34개 철강사 대상으로 기술력·수익성·원가절감 등 23개 항목을 평가, 포스코를 세계 1위 철강사로 선정했다. 포스코는 시가총액도 최근 아르셀로미탈을 제치고 세계 1위 철강기업으로 올라섰다.
참고 1) 조선일보 조형래 기자. 2011.12.14. 기사제목 [철강王 박태준 별세] 선조의 피값(대일 청구권 자금)으로 짓는 제철소, 실패하면 영일만에 빠져 죽자; 조선일보 조형래 기자. 2011.12.14. 기사제목 [철강王 박태준 별세] 박태준, 3선개헌 지지 거부하자 朴 대통령 "원래 그런 친구야"; 조선일보 이영환 기자. 2011.12.14. 기사제목 [철강王 박태준 별세] 포스코, 40년 만에 세계 1위 철강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