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이 발전되면서 기존에 철학적 절대 명언으로 받아들여지던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야 한다"라는 말이 이제는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뇌와의 싸움에서 이겨야 한다"로 바뀌었다. 또한 "불행을 벗어나려면 팔자소관대로 살아야 한다"라는 운명론도 "행복하기 위해서는 뇌 팔자가 시키는대로 살아야 한다"라는 말로 바뀌어야 할 입장이다.
기본적으로 뇌는 X이론의 절대 신봉자이다. 즉 뇌의 숨겨진 속성은 똑게이다. 다시 말해 뇌는 똑똑하지만 게으르기 짝이 없다. 게으른 뇌가 제일 싫어하는 것이 변화이다. 뇌는 다이어트도 싫고 공부도 싫고 그냥 잘 먹고 쉬엄쉬엄 놀아가면서 아무 것도 안 하고 편안하게 여생을 보내고 싶어한다. 뇌는 편안함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똑똑함을 최대한 이용하여 변화에 저항한다. 결국 변화했다는 것은 똑똑하지만 게으른 뇌와의 두뇌 싸움에서 이겼다는 것이다. 결국 자신과의 싸움이 아니라 뇌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사람만이 변화에 성공한다.
이 똑똑하지만 게으른 뇌를 어떻게든 이겨내서 새로운 행동을 자연스럽게 습관처럼할 수 있었다는 것은 평소 운동을 안 해서 근육이 전혀없는 뇌에 근육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근육은 체험을 통해서 얻어진 믿음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변화된 행동에는 그 행동을 지지하는 믿음의 뿌리가 버티고 있다. 뇌과학에서 어떤 행동을 떠 받치는 믿음이 생겼다는 것은 뇌의 시냅스 구조가 그렇게 바뀌었다는 것을 말한다. 시냅스가 지지해주지 못하는 행동은 변화된 행동은 아니다. 뇌과학 연구에 의하면 시냅스의 뿌리가 형성되지 않은 새로운 행동을 할 경우 기존 시냅스가 내뿜는 전기저항이 100배나 더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 시냅스가 시키는 일을 할 때엔 전기저항이 별로 없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힘이 들지 않고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뇌팔자란 무엇이고 정말 있는가?
과학자들은 사람들은 자신의 두뇌 (좌,우, 전, 후) 중 타고날 때부터 더 기름진 뇌 밭이 있는다고 보았다. 뇌과학자들은 사람의 두뇌를 좌측전뇌(목표 지향적), 우측전뇌(창조 지향적), 좌측후뇌(원칙 지향적), 우측후뇌(화합 지향적)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뇌에 대한 이야기는 최근의 뇌과학 연구 결과를 반영하지 못한 시대착오적 이야기이다. 기존의 뇌에 대한 연구는 성인이 된 뇌는 절대로 바뀌지 않는 다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는 이 가정이 잘못되었다는 밝혀냈다. 뇌가소성 (Neuroplasticity)에 대한 연구가 그것이다. 뇌 가소성의 가설은 뇌는 청년기를 지나도 지속적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한편 갤럽 연구에서는 이 두뇌의 밭을 연구해보니 이 밭과는 상관없는 다른 밭을 일구고 사는 사람들의 인구가 미국인구의 약 70∼80%라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특히 변화를 주도해서 세상에 족적을 남긴 사람들은 즉 자신의 뇌팔자에 어굿나게 생활을 해온 사람들이 월등하게 많았다는 것이 연구결과이다.
어떻게든 의지력을 발휘해서 뇌에 근육을 만들면 뇌의 시냅스 구조가 바뀐다. 이렇게 해서 바뀌어진 뇌는 운명적인 뇌와는 상관없이 자신이 개척한 영역에서 열정과 몰입을 느끼며 살 수 있다. 삶의 선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좋은 방향으로 시냅스를 바꾼 사람들은 뇌팔자를 자신이 바꾼 것이다. 목적을 염두에 두고 시냅스를 바꾼 사람들은 세상을 바꾼 리더로 거듭난다. 목적이 아니라 자신의 편견을 채우기 위해 시냅스를 바꾼 사람들은 엉뚱한 곳에 힘이 들어간 뇌 근육을 가진 사람들이다. 엉뚱한 곳에 힘이 들어간 이들의 뇌근육은 다른 사람들과 충돌과 갈등과 전쟁을 만들어낸다.
물론 누구나 자신의 타고난 뇌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 필요가 있지만 사람들이 뇌를 훈련해서 근육을 만드는 노력을 하지 않고 타고난 상태만을 가지고 살았다면 즉 모든 사람들이 뇌의 운명대로 살았다면 인류역사에는 변화가 없고 창조가 없었을 것이다. 뇌의 인지능력으로는 세계 34위권인 이스라엘이 세계를 장악하고 사는 것은 결국 이들이 뇌의 "운명"을 믿었기보다는 세계 어떤 민족보다 뇌의 근육을 많이 만든 "믿음"의 민족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곳에서 오래살아서 이곳에 고정된 뇌팔자를 가지고 있는데 유대인들은 어디에 살던 이들이 상징적으로 부여한 가나안으로 이동하는 노마드 여정의 삶의 여정을 따라 믿음의 편견에 빠지지 않는 뇌가소성을 극대화하는 삶을 산다.
성공은 타고난 뇌의 재능에 의해서 결정되기 보다는 목적 지향적 삶을 복원해서 뇌를 이 목적에 기여하도록 탄력있고 유연한 근육을 만든 사람들이 누리는 과실이다. 지속가능한 성공은 자신이 만든 뇌의 근육양에 의해 결정된다. 과거의 성공경험에 빠져서 산다면 뇌가소성은 떨어지는 것이다. 무슨 부대나 무슨 빠와 같이 정치적 지향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도 뇌가소성이 떨어지는 사람들이다. 이런 정치적 성향이 주는 편향된 믿음을 목적에 대한 믿음으로 지속적을 해체시킬 수 있을 때 최고의 뇌가소성을 유지하는 열린 삶을 경험한다. 편견의 근육을 벗어던지지 못한다면 자신이 꿈꾸는 행복한 삶과의 거리는 점점 멀어질 것이다. 뇌의 시냅스가 이미 편견의 잘못된 근육으로 세상에 따라 진화할 수 있는 제대로 된 근력을 만들 수 있는 동력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