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자만심 때문이란 주장이 가장 정설이다. 오만과 자만심을 뜻하는 말인 'Hybris는 그리스 신화에서 크세르크세스 1세(BC 486-465)의 이야기에 등장한다. 영어의 Hubris와 같은 말이다.
페르시아 제국의 젊은 대왕인 크세르크세스 1세(BC 486~465)는 거대한 것에 집착했다. 그리스 본토를 칠 때 231만의 군사를 포함해 모두 528만명을 동원했다.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를 치기 위해 당시로는 상상하기 어려운 대역사를 함께 벌였다. 그리스 북부 아토스 반도를 가로지르는 운하를 판 것이다. 운하의 목적은 그리스의 성공적 침공에도 있지만 자신의 힘을 보여주고 운하를 후세에 기념비로 남기고 싶은 과시욕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운하에 집착하는 사람들은 오만과 자만심에서 나온 과시욕을 가지고 있다.
크세르크세스의 오만은 스스로 부풀어 올랐다. 심지어는 그의 오만은 자연현상을 심문하고 처벌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대군을 이끌고 헬레스폰토스해협 앞에 이르자 그는 800척의 배를 나란히 엮어 대륙을 횡단하는 부교를 세웠다. 이때 큰 풍랑이 일어 다리를 산산이 부수어 버렸다. 진노한 크세르크세스 대왕은 해협에 죄를 물어 채찍 300대를 치고, 바다의 신을 결박한다는 뜻으로 족쇄를 던졌다. 그의 명령을 받은 군대가 해협을 향해 소리쳤다. “네가 나를 방해한 죄로 우리 주인께서 너에게 이런 벌을 내리시는 것이다. 대왕께서는 네가 원하든 원치 않든 너를 건너가실 것이다.” 그의 뜻대로 그는 바다를 건넜다.
크세르크세스 대왕이 보여준 오만을 그리스인들은 ‘히브리스’(hybris)라고 불렀다. 히브리스에 빠지면 모든 사람들은 눈 뜬 장님이 된다. 세상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눈을 상실하는 것이다. 자신이 설정한 목표의 정당성만 생각하고 주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를 전혀 돌아보지 않기 때문이다.
히브리스에 휘둘려 장님이 되면 그때 반드시 닥쳐오는 것이 네메시스(nemesis)라는 곧 응징과 복수의 신이다. 복수의 신 네메시스는 항상 돌아와 영웅들이 뿌린 히브리스의 죄 값을 받아낸다. Hybris와 Nemesis의 관계는 절대로 인과응보의 법칙을 벗어날 수 없다.
"발칸반도를 파죽지세로 남하한 크세르크세스는 살라미스 바다에서 그리스 연합군과 맞붙었다. 그는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옥좌를 마련하고 앉아 마치 영화를 보듯 전투를 감상했다. 그러나 한나절 만에 페르시아 해군은 그리스 삼단노선의 공격에 궤멸당한다. 장군들과 병사들이 죽어가는 것을 보면서 크세르크세스는 제 옷을 갈기갈기 찢으며 울부짖는다.
나는 이 대목에서 크세르크세스 대왕이 장님이 된 자신의 눈을 탓하고 외디푸스처럼 자신의 눈을 찔러서 실제 자신을 장님으로 만든 비극을 상상한다.
오만과 자만심은 어디에서 생기는 것일까?
자신이 도달해야 할 궁극적인 사명의 목적지가 없는 상태에서 운이나 재능에 의해서 큰 성공을 걸머 쥐었을 때 반드시 생긴다. 큰 성공은 자신의 모든 행동을 정당화 시킬 뿐 아니라 성공을 배우려는 사람에게 자신의 스토리의 정당성을 강요한다. 이와 같은 강요가 자신을 장님으로 만들고 더 큰 성공 더 극적인 반전을 꿈꾸며 밀어 붙이는 것이다. 사명의 목적지를 상실한 상태에서 타고난 운과 타고난 재능은 재앙인 것이다.
영웅이 무너지는 스토리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명의 목적지가 없는 상태에서 운이나 재능 덕택에 큰 성공을 맛본다. 성공을 맛보는 순간 자신이 도달한 장소가 바로 목적지라는 생각으로 자신의 성공을 정당화 시키고 타인에게도 강요한다.
둘째, 이처럼 자신 성공 스토리를 신화화 할수록 다른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볼 수 없는 장님이 된다.
셋째, 장님이 세상에 대해서 자신의 힘으로 계속 밀어붙이고 매질을 하고 괴롭힐 경우 세상은 장님의 한 일에 대해서 반드시 복수한다. 골리앗이 모든 것으로 중무장한 거인이었지만 지독한 근시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시야를 확보한 다윗의 돌팔매질을 이길 수 없었다.
역사적으로 이런 비극적 스토리의 주인공들은 사람이기도 하지만 기업이나 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소니나 노키아가 무너진 이유는 바로 자신이 도달한 중간 기착지를 최종 목적지로 착각하기 시작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도 hybris에서 시작되었다. 사명의 목적지가 없는 상태에서 회사, 개인, 심지어는 국가가 단기적 비전을 강조하는 함정이 여기에 있다. 한 번 비전을 달성한 후 궁극적 목적지에 대한 생각을 잃어버리고 자신을 근시안을 가진 장님으로 만드는 것이다. 비전만을 강조하는 기업이나, 나라나, 리더는 구성원을 장님으로 만드는 원흉이다. 비전도 중요하지만 비전의 사다리를 통해서 도달해야 할 사명의 목적지에 대한 생각을 잃어버리면 이 기차는 반드시 탈선한다.
교훈은 무엇인가?
부처님의 전생의 이야기를 담은 경전, 잡보장경(雜寶藏經)에서도 ‘태산 같은 자부심을 갖고 누운 풀처럼 자기를 낮추어라 하였고 역경을 참아 이겨내고 형편이 잘 풀릴 때 조심하라’고 강조하였다.(3권, 용왕게연 龍王偈緣중). 태산 같은 자부심의 원천은 비전의 목적지 사명에서 나온다.
지금처럼 경기가 저성장, 저금리, 저수익의 장기적 불황을 지칭하는 L자 경기로 어려울 때일수록 비저닝도 중요하지만 비전의 목적지를 강조하는 미셔닝은 더 중요하다. 목적지를 잃는 순간 사람들은 온갖 이상한 짓에 몰두하기 시작한다. 니체의 예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