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에서 Case Study의 함정:
스스로의 케이스를 쓰자.
Case Study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MBA 학생들의 학습도구로 사용해서 유명해진 학습방법이다. 문제는 이 케이스 스터디가 유수 경영대학원에서 학습방법론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충분히 검증된 학습방법이라고 사람들이 믿고 있다는 점이다. 베이컨이 이야기하는 권위의 우상이라는 함정에 빠진 것이다. 권위의 우상이라는 것은 권위있는 사람이 나서서 그렇게 주장을 하면 사람들은 그것은 그 사람에 의해서 이미 다 검증되었을 것이라고 믿고 그 주장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이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제외한 다른 유수의 경영대학원에서는 이미 이 케이스 스터디의 문제점을 간파하고 주요한 학습수단으로는 제한적으로만 사용하기 시작한지가 이미 오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만은 유독 케이스 스터디를 만병통치약으로 간주하는 분위기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없다. 지금도 회사의 관리자들과 세미나를 진행하다 보면 이들로 부터 새로운 더 나은 케이스를 보여달라는 주문을 많이 받는다.
케이스 스터디의 가장 큰 함정은 선생이 학생에게 숟가락으로 음식을 떠 먹여주는 "Spoon feeding"의 학습방법이라는 점이다.
이때 직면하는 첫째 문제점이 이 음식이 자신의 몸에 맞는지는 학생이 판단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학생으로써는 선생이 어련히 잘 맞추어서 조리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맛있게 먹어주는 수 밖에 달리 선택의 여지가 없다. 학생이나 선생이나 이 케이스의 결과에 치중할 뿐이지 이 결과를 가져다 준 조건이 우리 회사와 같은 조건을 가진지는 별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게이스의 조건이 자신의 회사의 조건과는 전혀 달라도 우리 회사가 지금 직면해 있는 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을 낸 결과만을 보고 이 케이스를 좋은 케이스라고 생각하고 섭취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먹을 때는 맛있게 먹어도 실제로 몸 속에 들어가서는 전혀 몸 속으로 체화되지 않는다. 우리 회사와 상황이 50%만 비슷한 회사의 케이스를 얻어내는 것도 하늘에 별따기 보다 힘들다. 이런 한계점을 억지로 무시하고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비슷한 해결책만 보여준다면 그 회사의 조건과 우리 회사의 조건 따위는 무시하고 일단 먹고 본다. 케이스를 아무리 많이 공부해도 포만감을 주지 못하고 헛배만 불러오는 것은 바로 이런 문제 때문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스푼 피딩의 방식으로 학습을 주도하기 때문에 학생이 주제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기잡는 방법을 배울 길"이 없다. 수동적인 방법에 익숙해진 학생은 어디에 더 나은 더 자극적인 새로운 케이스가 없는지 찾아나서서 자신을 벌거숭이 임금님으로 만든다. 자신에 맞는 옷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유행의 첨단의 케이스를 채용해보지만 스스로는 이미 벌거숭이 임금님이다.
그렇다면 케이스 스터디의 대안은 어떤 것일까? 나는 케이스보다 이론에 대한 연구에 더 매진할 것을 강조한다. 여러 케이스들을 일반화 하여 만들어진 것이 바로 이론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론의 문제점을 현실과의 괴리감으로 지적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론의 기능을 잘못 이해하고 하는 주장이다. 케이스와는 달리 이론은 현실을 극대화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당현히 현실과는 괴리를 보인다. 하지만 이론의 기능은 바로 현실과 동 떨어져 현실을 성찰할 수 있는 거울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면 이 이론을 거울로 삼아서 자신의 지금의 입장을 비춰보고 자신의 현실과 이상사이에 어떤 얼마나의 괴리가 있는지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 차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살펴보다 보면 이론과 현실의 중간지점에 자신만의 케이스와 모형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이 실제로 실천하고 입어볼 수 있는 자신에게 맞는 케이스 내지는 모형이 완성된 것이다.
Lewin이라는 행동이론가는 이런 점에서 "가장 이론적인 것이 가장 실천적인 것이다"라는 명언을 했다. 자신에 맞는 최적의 케이스를 찾아 무모한 방황을 하기보다는 이 다양한 케이스를 기반으로 한 이론을 공부하고 이 이론을 거울로 삼아 현실과의 차이를 찾아내고 이것을 기반으로 자신의 몸에 맞는 게이스를 스스로 써내려갈 수 있을 때 학습하는 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논쟁은 자기 개발서에 빠져 사는 경우에도 똑 같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자기개발서의 성공한 사람들의 스토리에 빠져 살다보면 어느 순간 자신이 벌거숭이 임금님이 되어 더 나은 케이스인 더 나은 자기개발서를 찾아 헤메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게 될 것이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만의 케이스를 스스로 쓸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만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있는 관리자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스스로의 케이스를 쓰자.
Case Study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MBA 학생들의 학습도구로 사용해서 유명해진 학습방법이다. 문제는 이 케이스 스터디가 유수 경영대학원에서 학습방법론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충분히 검증된 학습방법이라고 사람들이 믿고 있다는 점이다. 베이컨이 이야기하는 권위의 우상이라는 함정에 빠진 것이다. 권위의 우상이라는 것은 권위있는 사람이 나서서 그렇게 주장을 하면 사람들은 그것은 그 사람에 의해서 이미 다 검증되었을 것이라고 믿고 그 주장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이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제외한 다른 유수의 경영대학원에서는 이미 이 케이스 스터디의 문제점을 간파하고 주요한 학습수단으로는 제한적으로만 사용하기 시작한지가 이미 오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만은 유독 케이스 스터디를 만병통치약으로 간주하는 분위기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없다. 지금도 회사의 관리자들과 세미나를 진행하다 보면 이들로 부터 새로운 더 나은 케이스를 보여달라는 주문을 많이 받는다.
케이스 스터디의 가장 큰 함정은 선생이 학생에게 숟가락으로 음식을 떠 먹여주는 "Spoon feeding"의 학습방법이라는 점이다.
이때 직면하는 첫째 문제점이 이 음식이 자신의 몸에 맞는지는 학생이 판단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학생으로써는 선생이 어련히 잘 맞추어서 조리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맛있게 먹어주는 수 밖에 달리 선택의 여지가 없다. 학생이나 선생이나 이 케이스의 결과에 치중할 뿐이지 이 결과를 가져다 준 조건이 우리 회사와 같은 조건을 가진지는 별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게이스의 조건이 자신의 회사의 조건과는 전혀 달라도 우리 회사가 지금 직면해 있는 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을 낸 결과만을 보고 이 케이스를 좋은 케이스라고 생각하고 섭취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먹을 때는 맛있게 먹어도 실제로 몸 속에 들어가서는 전혀 몸 속으로 체화되지 않는다. 우리 회사와 상황이 50%만 비슷한 회사의 케이스를 얻어내는 것도 하늘에 별따기 보다 힘들다. 이런 한계점을 억지로 무시하고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비슷한 해결책만 보여준다면 그 회사의 조건과 우리 회사의 조건 따위는 무시하고 일단 먹고 본다. 케이스를 아무리 많이 공부해도 포만감을 주지 못하고 헛배만 불러오는 것은 바로 이런 문제 때문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스푼 피딩의 방식으로 학습을 주도하기 때문에 학생이 주제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기잡는 방법을 배울 길"이 없다. 수동적인 방법에 익숙해진 학생은 어디에 더 나은 더 자극적인 새로운 케이스가 없는지 찾아나서서 자신을 벌거숭이 임금님으로 만든다. 자신에 맞는 옷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유행의 첨단의 케이스를 채용해보지만 스스로는 이미 벌거숭이 임금님이다.
그렇다면 케이스 스터디의 대안은 어떤 것일까? 나는 케이스보다 이론에 대한 연구에 더 매진할 것을 강조한다. 여러 케이스들을 일반화 하여 만들어진 것이 바로 이론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론의 문제점을 현실과의 괴리감으로 지적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론의 기능을 잘못 이해하고 하는 주장이다. 케이스와는 달리 이론은 현실을 극대화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당현히 현실과는 괴리를 보인다. 하지만 이론의 기능은 바로 현실과 동 떨어져 현실을 성찰할 수 있는 거울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면 이 이론을 거울로 삼아서 자신의 지금의 입장을 비춰보고 자신의 현실과 이상사이에 어떤 얼마나의 괴리가 있는지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 차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살펴보다 보면 이론과 현실의 중간지점에 자신만의 케이스와 모형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이 실제로 실천하고 입어볼 수 있는 자신에게 맞는 케이스 내지는 모형이 완성된 것이다.
Lewin이라는 행동이론가는 이런 점에서 "가장 이론적인 것이 가장 실천적인 것이다"라는 명언을 했다. 자신에 맞는 최적의 케이스를 찾아 무모한 방황을 하기보다는 이 다양한 케이스를 기반으로 한 이론을 공부하고 이 이론을 거울로 삼아 현실과의 차이를 찾아내고 이것을 기반으로 자신의 몸에 맞는 게이스를 스스로 써내려갈 수 있을 때 학습하는 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논쟁은 자기 개발서에 빠져 사는 경우에도 똑 같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자기개발서의 성공한 사람들의 스토리에 빠져 살다보면 어느 순간 자신이 벌거숭이 임금님이 되어 더 나은 케이스인 더 나은 자기개발서를 찾아 헤메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게 될 것이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만의 케이스를 스스로 쓸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만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있는 관리자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