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8-06-15 06:27
[N.Learning] 학습의 두 수레바퀴
 글쓴이 : 윤정구
조회 : 2,229  

Feedback & Feedforward의 차이?
학습의 두 수레바퀴

피드백은 자신이 이미 한 과거 행동의 결과에 대해 주변으로부터 이야기를 듣고 잘못된 것을 고치는 과정이다. 주변의 이야기를 들어 봄에 의해서 현재 문제가 될 수 있는 자신의 가정을 고쳐나가는 학습과정을 피드백이라고 한다. 모든 구체적 행동의 뿌리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정이기 때문에 행동이나 태도가 문제가 아니라 이 뿌리에 해당되는 가정을 고칠 수 있을 때 비로서 학습이 가능해진다. 가정은 그대로인데 행동의 전략만을 고치는 것은 학습을 구성하지 못한다.

피드백에서 주변사람의 의견이 결정적인 이유가 있다. 내 자신은 나 앞모습만 보고 살고 있지만 주변 사람들은 내 자신이 볼 수 없는 내 뒤통수까지 볼 수 있는 거울이다. 이들의 거울에 비춰진 나의 모습을 통해 나에게 가진 가정의 흠집을 고쳐나가게 할 수 있는 것이 피드백이다. 내가 볼 수 없는 내 뒤통수의 모습은 내가 암묵적으로 받아들이는 잘못된 가정들이다. 따라서 피드백의 목적은 이 잘못된 가정들에 대한 정보이다. 이 정보들을 이용해서 내 잘못된 가정들을 수정해나가는 것이 피드백이다.

좋은 피드백을 위해서는 품앗이가 필요하다. 평소 상대를 위해 좋은 피드백을 제공해서 상대가 자신을 성장시키는데 도움을 많이 주었다면 이 상대로부터 자신도 건설적인 피드백을 받을 개연성이 높다. 피드백을 받을 상대가 없다면 자신의 가정을 기반으로 어떤 행동을 실험적으로 해보고 이 실험적 행동이 실패로 귀결되는지 성공으로 귀결되는지를 통해서 스스로 피드백을 만들어 나갈 수도 있다. 실패로 결론났다면 자신의 가정이 잘못된 것이어서 이것을 고쳐야한다. 실험이 피드백 학습에서 각광받은 이유이다.

피드백이 이미 한 과거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과거 학습이라면 피드포워드feedforward는 미래학습의 기제를 구성한다. 자신의 미래의 삶의 스토리를 주변사람들에게 이야기했을 때 이들의 마음에 떨림을 줄 수 있는지를 수집해서 내 삶의 스토리를 수정해나가는 과정이 피드포워드이다. 내가 무슨 이야기를 해도 사람들의 마음에 울림을 창출하지 못한다면 이들은 내 스토리의 성공을 위해서 자신이 가진 자원들을 자발적으로 동원해줄 의사가 없다는 것이어서 내 삶의 스토리가 현실로 구현될 개연성은 없다. 미래의 삶의 스토리를 만들어서 사람들에게 순간적으로 떨림을 창출하는데 성공한다 하더라도 이것이 그냥 스토리일 뿐이지 내 삶의 일부로 내재화되지 못했을 때는 진정성 있는 스토리를 구성하지 못한다. 스토리의 진정성이 의심을 받는다면 이 스토리가 사람들에게 떨림을 만들 수 없다. 진정성이 떨어지는 정치가들이나 장사꾼이 자신의 이익을 숨겨가면서 떠드는 이야기와 다르지 않다.

학습을 통해 성장하기 위해서는 피드백과 피드포워드 모두가 필요하다. 피드백을 통해서만 학습한다면 지금 가진 문제를 해결하는데는 어려움이 없을지 모르나 스스로 미래를 개척해 선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들은 변화의 폭풍우 속에서 반드시 길을 잃는다. 피드포워드를 통해 자신의 미래에 대한 스토리와 삶의 대본들이 마련되어질 때 비로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미래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사람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진성리더십 아카데미에 참여하시는 도반들은 아마도 Feedback을 통한 학습은 이원학습이고 Feedforward의 바퀴를 통한 학습은 삼원학습이라는 것을 금방 알 것이라고 추측해본다.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